본문 바로가기

건강

나의 인바디(InBody) 점수는?

반응형

 

인바디 측정 결과지
인바디 측정결과지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나의 신체변화 

①체중  ②골격근량  ③체지방률  ④세포외수분비  ⑤다리근육량   기초대사량  ⑦복부지방률  ⑧내장지방레벨

 

이 중에서 주요항목만 보면

 

첫째. 체지방률이 16.5에서 19.6으로 늘었다. 그 이전에도 18을 넘긴 적은 없다. 

둘째. 기초대사량이 1232에서 1183으로 줄었다. 내 연령대의 평균보다는 높지만, 많이 줄었다.

세째. 내장지방레벨이 2에서 4로 높아졌다. 

네째. 근육량도 당연히 줄었다. 바디타입의 좌표 위치도 살짝 바뀌었다.

 

이 네가지만 봐도 그동안 운동과 식생활 전반에 걸쳐  전보다 좋지못한 생활을 했다는 뜻인가 싶다. 평소에 관리를 하는 것은 아니고 보건소를 지날 때  더러 들러서 해 본 결과인데  데이타가 4회쯤 모이니 비교가 된다. 앞으로 관리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. 

 

 

다음은 인바디 항목이 뜻하는 게 무엇인지 그 의미를 알아보자.

 

체성분 분석

1.체수분 (Total Body Water, TBW): 체내 물의 양. 일반적으로 체중의 약 50~70%가 체수분이다.

 

2.단백질 (Protein): 몸의 단백질 수준을 측정한다. 단백질은 근육 및 조직의 구성 성분이다. 정상 수치는 개인의 활동 수준과 목표에 따라 다를 수 있다.

 

3.무기질 (Minerals): 주로 뼈의 미네랄 함량을 나타낸다.

 

4.체지방 (Body Fat ): 몸에 저장된 지방의 양. 건강한 범위는 개인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, 일반적으로 남성은 15-20% 사이, 여성은 20-25% 사이가 일반적이다.

 

▊골격근과 지방분석

5.체중: (나는 체중보다는 허리 사이즈에 신경을 쓰는 편이다.)

 

6.골격근량 (Skeletal Muscle Mass):  근육의 양.  적절한 근육량은 개인의 목표와 운동 활동에 따라 다를 수 있다.

 

7.체지방량 (Body Fat Weight):몸에 저장된 지방의 양(Kg).  내 몸의 전체 체중 중에서 몇 키로가 지방인가.

 

▊비만분석

8. BMI (Body Mass Index): 체질량 지수로, 체중과 키를 사용하여 계산일반적으로 18.5~24.9 사이가 적정범위다.

 

9.체지방율 (Body Fat Percentage): 체중 대비 체지방의 비율(%). 체지방율은 체지방량을 전체 체중으로 나눈 비율이다. 체지방율은 몸의 전체 체중 중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므로, 체지방 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. 체중이 70kg이고 체지방율이 20%라면,  이 사람 몸의 지방은  14kg이다. 

 

▊부위별 근육분석

10. 오른팔:

11. 왼팔:

12. 몸통:

13. 오른다리: 

14. 왼다리: 무릎수술을 한 건 왼쪽인데,  허리수술을 한 영향으로 오른쪽 다리힘이 더 약하다. 

 

▊기타항목

15.세포외수분비 (Extracellular Water, ECW): 체내 물 중에서 세포 외부에 위치한 물의 양을 나타낸다. 세포외수분은 혈관, 조직, 뼈 등의 외부에서 세포에 둘러싸인 물을 의미하며, 전체 체수분 중 일부이다. 세포내수분과 함께 체수분을 구성한다.  몸의 부종 정도를 측정할 때 필요한 지표이며 다양한 질병의 예후를 추측할 수 있다. 0.36~0.39이면 정상범위,  0.40까지는 약한 부종으로 본다.

 

 

16.인바디 점수 (InBody Score): 인바디 체성분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점수이다. 이 점수는 종합적인 건강 및 체질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. 인바디 장비 제조사에 따라 다르게 계산될 수 있다.

 

17.복부지방률 (Visceral Fat): 복부지방은 내장지방의 일종으로, 복부 주변에 위치한 지방을 의미한다. 과다한 복부지방은 건강 문제와 연관될 수 있으며, 심혈관 질환과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.

 

18.내장지방 레벨 (Visceral Fat Level): 내장지방은 체내장기를 둘러싸고 있는 복강 내 저장되는 지방을 말한다. 그리고 이는 간, 위, 내장을 포함한 여러 중요한 장기 주변에 축적된다.  내장지방의 양을 측정한 값은  일반적으로 1~30 사이의 범위로 표시된다.  내장지방을 간편하게 측정하는 방법: 줄자로 배꼽 주위 허리둘레를 측정했을 때 남자는 90cm, 여자는 85cm 이상일 때 내장지방이 축적된 것으로 판단한다.  단, 이는 전체 지방량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방법은 아니다.  

 

19.기초대사량 (Basal Metabolic Rate, BMR): 휴식 상태에서 몸이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낸다. BMR은 식사나 운동에 상관없이 몸이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의미한다.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의 양.  기초대사량은 체온 유지, 심장 박동, 호흡 운동, 근육의 긴장 등에 쓰는 에너지로 우리나라 성인 남자의 경우 보통 1,400kcal ~1500 정도이다. (체중 1kg당 한시간당 1kcal로 계산한다).  그러나 기초대사량(BMR)은 연령, 성별, 체질량 등에 따라 다르다.

 

 

20.임피던스 (Impedance): 인바디 장비에서 사용되는 측정 기술 중 하나로, 인체에 미세한 전기를 흘려  전기저항을 측정하여 체성분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. 임피던스 측정은 체내의 물의 양과 분포를 계산하는 데 활용된다.

 

 

인바디 체성분 분석 지표와 용어는 건강 상태 및 체질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. 결과를 해석할 때는 항상 전문가와 상담하고 개인의 특정 상황과 목표를 고려해야 한다. 그리고  이러한 수치를 비교하거나 평가할 때 다른 요인들도 고려해야 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